본문 바로가기

JAVA

이클립스 실행시 자동저장 후 실행 설정 [Window] - [Prferences] [General] - [Workspace] - [Build] - Save automatically before manual build 체크 - [Apply] [Run/Debug] - [Launching] -[Save required dirty editors before launching]에서 Always 체크 후 [Apply and Close] 더보기
추상화란 (JAVA 추상화) IT 용어 중 추상화를 비롯 여러 용어들 중 마음에 안드는게 좀 많았다.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그 단어 말고는 딱히 쓸게 없는 거 같기도... 그렇지 않으면 단어대신 술어로 술술술 풀어써야 성에 찰 것이다. 내가 쓰던 추상화는 최대한 군더더기를 배제하여 메타포적인 것만 남긴 약간은 시적인 의미였는데 자바에서 추상화란 캡슐들의 공통분모를 잘라낸 것을 뜻한다. 추상화로 만들어진 클래스의 특징 두 가지로는 1. 추상 클래스는 공통분모, 즉 '뼈대'이므로 절대로 실체화 되어서는 안된다. 2. 추상 클래스는 공통분모, 즉 '뼈대'이므로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추상클래스로 정의하기 위해 abstract이라는 키워드는 붙여줌으로써 추상클래스를 객체화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공통분모.. 더보기
이클립스에서 Package Explorer 사라졌을 때 [Window] - [Show View] - [Other...]에서 [Java] - [Package Explorer] 선택 더보기
JAVA 생성자 (Consturctor) 예를들어, ExamList list = new ExamList(); 이렇게 ExamList 형식의 객체를 list라는 명칭으로 새로 생성할 때 멋모르고 쓰던 생성자 함수의 의미를 뉴렉처 선생님 강의를 듣고 명확한 정체를 알게 되었다. new를 써서 ExamList의 객체를 따끈따끈하게 갓 생성한 후 오직 갓 생성한 객체만 뒤에 호출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가 바로 ( ) ←얘!!!!! 이름을 불러 호출할 수는 없다. 오직 새로 생성된 객체를 통해서만 호출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 즉, 객체를 생성할 때 new 연산자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자료형식+();" 형태의 소괄호가 객체의 속성을 0으로 초기화해주는 함수이다. 기본값이 아닌 다른 값으로 초기화 하고 싶을 때만 생성자를 구현하면 된다. 생성자는 힐반 .. 더보기
JAVA 캡슐화 캡슐화 :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메소드와 데이터 구조를 묶는 것. 그래서 (예를 들어 변수명을 바꿨을 때,)오류의 범위를 한정 지을 수 있다. 캡슐을 깨뜨리는 행위를 막을 강제할 방법은 없다. 그래서 은닉성을 위한 어떤 '도구'가 필요. 접근지시자(private,protected,public)등장. -static을 쓰면 일반함수 (function이라고 쓰면 더 직관적일텐데) 객체말고 파라미터를 넘겨 받는다. -static을 빼면 객체지향에서 쓰는 함수(메서드) 객체를 넘겨받는다. = 객체 메서드, 실체 메서드 lotto 객체에 대하여 this를 사용하는 gen(), sort()..이런 함수들은 lotto에 서비스한다 하여 서비스, 메서드, (lotto의)멤버 함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