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들어,
ExamList list = new ExamList();
이렇게 ExamList 형식의 객체를 list라는 명칭으로 새로 생성할 때 멋모르고 쓰던 생성자 함수의 의미를 뉴렉처 선생님 강의를 듣고 명확한 정체를 알게 되었다.
new를 써서 ExamList의 객체를 따끈따끈하게 갓 생성한 후
오직 갓 생성한 객체만 뒤에 호출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가 바로 ( ) ←얘!!!!! 이름을 불러 호출할 수는 없다.
오직 새로 생성된 객체를 통해서만 호출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
즉, 객체를 생성할 때 new 연산자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자료형식+();" 형태의 소괄호가 객체의 속성을 0으로 초기화해주는 함수이다. 기본값이 아닌 다른 값으로 초기화 하고 싶을 때만 생성자를 구현하면 된다.
생성자는 힐반 함수와 달리 반환 값을 갖지 않고, 매개변수나 오버로드는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려고 만든 목적이 아니라면 초기화 함수를 서비스 함수로 만든것은 좋지 않은 방법이다.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되자 마자 무조건 누구보다 먼저 실행되어야하고
생성될 때 한 한번만 실행되어야 한다.
반환하는 함수가 아니므로 반환타입빼서 위와 같은 형식으로 쓴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 실행시 자동저장 후 실행 설정 (0) | 2021.04.11 |
---|---|
추상화란 (JAVA 추상화) (0) | 2021.04.08 |
이클립스에서 Package Explorer 사라졌을 때 (0) | 2021.04.04 |
JAVA 캡슐화 (0) | 2021.04.03 |